Education

2 Grade

2학년 교과목개요

2학년 교과목개요학년-학기, 교과목명, 학점 및 시수로 구성된 2학년 교과목개요 표
학년-학기 교과목명 학점 및 시수
2-1

PBL (Problem Based Learning)

흔한 일차적 질환의 임상적인 접근 과정을 문제바탕학습을 통해 이해하고, 표준화환자를 이용하여 학생들이 직접 체험함으로써 기본적이고 통합적인 임상추론능력과 의사결정능력을 체득한다.
2-1-2

의사입문Ⅰ(Doctoring Ⅰ)

인체를 구성하는 생체시스템의 해부학적 모식도와 영상의학 자료를 통해 그 작동원리와 증상/징후의 연관성을 이해하고, 7대 생체시스템에 대해 기본적인 병력청취와 신체진찰을 수행할 수 있고 통증의 신체적/사회문화적 개념과 환자의 심리를 이해하여 바람직한 환자의사 관계형성을 도모하는 면담기술을 습득하는 것이다
2-1-2

임상면역학 (Clinical Immunology)

연령에 따른 면역 발달을 파악하고 면역계 이상으로 발생되는 질환 즉 알레르기 질환이나 류마티스 질환들에 대한 지식 습득을 한다.
2-2-0

순환기학 (Cardiology)

의학전문대학원 졸업 후 의사로서 순환기계의 기본적인 병태 생리 및 약리학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순환기질환에 대해 보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 및 예방능력을 갖추도록 하기 위한 지식과 술기를 습득한다.
3-5-0

호흡기학 (Pulmonology)

일차 진료의로서 필요한 호흡기적 능력을 갖추기 위한 호흡기의 구조, 기능, 각종 호흡기질환의 병태생리와 진단, 치료방법, 합병증에 대해 강의한다.
3-3-0

소화기학 (Gastroenterology)

일차 진료의로서 필요한 능력을 갖추기 위한 소화기 각종 질환의 진단 및 내과적 치료, 외과적 치료방법, 합병증에 대해 강의한다.
3-5-0

손상과 중독 (Emergency Medicine)

의사로서 손상 및 중독 환자 즉 가정폭력과 성범죄로 인한 환자, 다발 손상 환자, 쇼크 환자 등에 대한 평가 및 응급 치료법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심혈관계에 이상을 초래하는 손상 및 중독에 대한 응급처치와 전문심장구조술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1-2-0

외과총론과 마취 (Prindiples of Surgery and Anesthesia)

일차 진료의로서 필요한 외과의 기본원칙, 수술 전 및 수술 후 처치, 외과적 합병증, 이식외과의 원칙 등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마취가 이루어지는 기전과, 적합한 마취를 선택하기 위한 환자평가방법 및 마취방법과 인체생리에 미치는 영향 등을 통해 마취과학의 기초지식을 습득한다. 또한, 통증의 기전과 통증관리에 관한 기초적인 임상지식을 습득한다
1-2-0

정신의학 (Psychiatry)

정신과학에 대한 기본 이해와 기초적인 지식을 전달하며, 유전적인 기초 분야부터 지역사회 및 정신재활에 이르는 다양한 분야에 대하여 두루 습득하도록 한다.
2-2-0

의료인문학Ⅱ (Medical Humanities Ⅱ)

강원의전원의 인문학 강좌를 이해하고 임상에서 부딪히는 의료 윤리(응급, 장기이식), 동물 윤리와 Medical professionalism 를 이해한다.
2-1-2
2-2

감염학 (Infection)

주요 감염질환의 원인균 및 임상적 접근법을 이해하고 1차 진료 시에 적절한 항균제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겸비하고 감염질환의 예방에 관한 지식을 습득한다.
2-2-0

혈액종양학 (Oncology)

종양의 생물학적 특성 및 발생기전을 이해하고, 발암인자의 역학적 상관관계를 이해하여 종양의 진단과 치료 및 예방에 임상적으로 활용한다. 또한 혈구와 조혈기관의 구조와 정상 및 병태생리를 이해하고 진단 및 치료에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2-3-0

신장비뇨기계학 (Nephrology)

기본적인 신장비뇨기학의 개요 및 각 질환에 대한 개념을 심어줌으로서 신장비뇨기학 전반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흔히 접하는 신장 및 요로계 질환에 대한 진단과정을 익히고 응급질환을 파악함으로서 일반의로서 이러한 신장 및 요로계 질환을 접했을 때 쉽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2-4-0

생식의학 (Obstetrics & Gynecology)

산부인과의 세부영역인 부인종양학, 일반 부인과학, 산과학, 불임학, 비뇨 부인과학에 관한 강의를 시행하며 학생들은 산부인과 환자의 특성과 개별 질환을 이해하여 진료에 임할 수 있는 기본수양을 함양하여야 한다.
3-5-0

내분비학 (Endocrinology)

뇌하수체와 당뇨병, 갑상선, 골다공증 등 내분비 대사 질환을 학습하여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2-4-0

성장과 발달 (Growth & Development)

신생아부터 청소년기까지 소아의 성장과 발달 과정을 습득하여, 소아를 이해하고 접근하는 사고의 기초를 확립한다.
2-2-0

임상신경학 (Clinical Neurology)

학생들에게 임상신경과학의 다양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통합하여 신경계 질환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2-3-0

피부감각기학 (Dermal Sensory System)

일차 진료의로서 필요한 능력을 갖추기 위한 피부감각기학의 해부와 생리, 각종 질환의 진단 및 내과적 치료, 외과적 치료방법, 합병증에 대해 공부한다.
2-2-0

근육골격계학 (Orthopedics)

근골격계의 해부학적 생리 화학적 지식을 습득하며 근골격계의 외상성, 선천성, 감염성, 종양성, 감염성, 염증성, 퇴행성 병변의 병태 생리에 대한 이해와 치료의 기본 지식을 익힌다.
2-2-0

과정기술 (Technical and Procedural Skills)

기초적인 필수 술기뿐 아니라 술기를 시행하는 동안 환자의 심리를 이해하고 올바른 태도를 취하는 것에 대한 습득을 목표로 하며 이를 위해 동영상 학습. 표준화 환자 실습, 피드백 등 다양한 능동적 학습 방법을 사용하여 진행 된다
2-1-2

의사입문 Ⅱ (Doctoring Ⅱ)

인체를 구성하는 생체시스템의 해부학적 영상의학 자료를 통해 그 작동원리와 증상/징후의 연관성을 이해하고, 3개 생체시스템에 대해 기본적인 병력청취와 신체진찰을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한 환자의사 관계형성을 도모하는 면담기술을 습득하는 것이다.
1-1-0

시기성과 종합평가 Ⅱ (Assessment of Phase Outcome Ⅱ)

Phase II의 시기성과를 달성했는지 평가하는데 목표가 있다. 각 시기별 학습성과를 달성하여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여 학생들의 진급에 활용한다.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