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ucation

4 Grade

4학년 교과목개요

4학년 교과목개요학년-학기, 교과목명, 학점 및 시수로 구성된 4학년 교과목개요 표
학년-학기 교과목명 학점 및 시수
4-1

지역사회의학 (Community Medicine)

학생들로 하여금 의료와 사회,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이해시키고 보건관리적 관점을 개발시킴으로써 향후 의사로서 활동하게 될 지역사회 및 의료조직에서 보건문제를 해결하고 지도자적인 관리 능력과 리더쉽 향상을 위한 자질을 연마하게 한다.
1-2-0

의료관리학 (Healthcare Management)

의료관리의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여 이를 국민건강의 증진, 질병의 예방 및 관리에 응용하며, 보건의료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는 데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1-2-0

의료와 법 (Forensic Medicine & Medical Suit)

사람의 죽음과 그에 수반되는 현상, 죽음에 관련된 질병, 손상 및 중독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익히고, 법을 적용하는데 의학이 이용되는 분야와 그 방법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여 법의학의 사회적 효용성을 이해한다. 일차진료의로서 알아야 할 의료법규에 대해 강의한다.
2-2-0

신경과학 실습 (Clinical Practice of Neurology)

신경과 임상실습은 대표적인 신경계 질환의 임상 증례를 중심으로 의사로서 필요한 진단 및 치료과정을 배우고, 그에 따르는 기본적인 신경과적 수기를 습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4

가정의학 실습 (Clinical Practice of Family Medicine)

가정의학의 일반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지역사회에서 흔한 질환의 치료, 가족 중심 진료, 치료와 예방을 포함한 포괄적인 진료 등 일차진료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경험하고 습득한다.
2-0-4

정형외과학 실습 (Clinical Practice of Orthopedics)

근육골격계학에서 배운 지식을 실제 환자에서 적용시키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정형외과 환에 대한 문진, 이학적 검사 및 X-선 검사를 실시하고 그 치료법을 활용하도록 한다.
2-0-4

학생인턴 3 (Student Internship 3)

산부인과, 소아과, 정신과, 응급의학과 중 하나를 택하여 심화된 진료능력 향상을 위해 2주 동안 인턴이 하는 진료행위를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수행해본다.
1-0-2

임상의학 종합평가 Ⅰ(Assessment of Clinical Medicine Ⅰ)

1-3 학년 과정에서 배웠던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과, 정신과, 예방의학과에 대한 내용을 요약 및 종합하여 학습함으로써 임상에서 응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지식을 터득하는데 목적을 둔다.
2-2-0

임상약리학 (Clinical Pharmacology)

신약개발에 필요한 임상시험의 설계, 수행, 평가와 관련된 기본적 지식을 제공하고, 약물의 용량, 체내동태, 효과 간의 관계 및 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구학적, 유전학적 및 기타 여러 요인과의 관계를 연구함으로써, 개인 및 집단 내에서 약물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사용을 통한 약물 개발 및 치료의 최적화를 이루기 위한 학문이다. 또한 임상의사가 임상시험을 주관하는 데 있어서 기본지식을 제공하는 강좌로 신약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의학도에게 필수로 요구되는 강좌이다.
1-1-0

특성화선택화실습 (Specialized Elective Course)

병원 실습을 통해서 배울 수 없는 영역을 체험하고, 자신의 적성을 탐색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실습 기간동안 학생은 포트폴리오를 작성을 통해 자신의 활동에 대하여 계획하고 활동을 다시 살펴보며, 자신이 지금까지 배운 것들과 서로 연결시켜서 생각해 본다.
1-0-2

임상수기훈련 (Training of Clinical Skills)

의사국가시험 실기시험 항목들을 직접 시연하고 채점한 후 피드백 받는 훈련 과정을 통해 실제적인 진료 및 수기 능력을 습득한다.
1-0-2

흉부외과학 실습 (Clinical Practice of Thorasic surgery)

강의로 습득한 지식을 임상실습에 응용하여 일반의로서 갖추어야 할 흉부외과학의 지식과 수기를 완성하고, 전문적인 지식을 요하는 특수분야에 대해서는 문제해결방향을 제시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2-0-4

신경외과학 실습 (Clinical Practice of Neurosurgery)

신경외과 전 영역에 대한 정보를 주고, 새로운 진단방법인 뇌전산화 단층 촬영 및 핵자기 공명에 대한 기본지식을 제공하는 데 있다.
2-0-4

마취통증의학 실습 (Clinical Practice of Anesthesiology)

마취가 계획된 환자의 육체적, 정신적 상태를 파악하고 적합한 마취방법을 선택하고 마취도중 또는 마취가 끝난 환자의 생리학적 변수를 예측하여 환자의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기량을 터득하며 통증의 기전을 이해하고 통증치료의 원칙과 방법을 시행한다.
2-0-4

의학교육학 실습 (Practice of Medical Education)

의학교육의 발달을 이해하고, 교육학적 바탕 하에 교수자의 역할을 습득해 보고, 다양한 학습 전략을 이해하고, 자발적 학습 능력 함양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2-0-4

이비인후과학 실습(Clinical Practice of Otorhinolaryngology)

이비인후과 질환의 환자들을 통하여 임상질환에 대하여 배우게 되며, 이비인후과 수술과 검사를 직접 확인하여 질병의 진단, 치료과정을 이해한다.
2-0-4

피부과학 실습 (Clinical Practice of Dermatology)

피부과학 강의를 통하여 습득한 기초지식 및 이론을 실제 임상에 응용하여 피부의 정상 및 병적상태를 이해하며 흔한 피부질환의 진단과 치료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
2-0-4

비뇨의학 실습 (Clinical Practice of Urology)

흔히 접하는 비뇨생식기 질환에 대한 진단과정과 직장수지검사, 도뇨법 등 기본수기를 익히고, 응급질환을 파악함으로서 일반의로서 이러한 비뇨기 질환을 접했을 때 쉽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2-0-4

안과학 실습 (Clinical Practice of Ophthalmology)

안과질환의 임상소견과 전신질환과의 관계를 올바르게 파악하여 환자의 증상에 안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능력을 익히게 한다. 기본 안과검사법과 약물 및 수술적 치료의 기본개념을 확립하여 1차 의료인으로서 기본소양을 갖추게 한다.
2-0-4

성형외과학 실습 (Clinical Practice of Plastic Surgery)

성형외과 분야 중 일차 의사로서 필요한 외과의 기본 기술, 창상처치, 안면부 및 수부외상에 대한 처치를 배우며 재건성형수술의 원칙을 이해한다.
2-0-4

방사선종양학 실습 (Clinical Practice of Therapeutic Radiology)

방사선종양학의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악성종양의 치료에 이를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한다.
2-0-4

재활의학 및 보완대체의학 실습 (Clinical Practice of Rehabilitation Medicine)

임상실습을 통하여 환자 치료에 대한 재활의학적 관점을 이해하고 재활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한다. 또한 재활의학과 환자에 대한 다양한 진단방법과 포괄적인 팀 접근에 의한 재활치료를 경험하며, 전기진단의 원칙과 임상적 적용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배운다.
2-0-4

해부병리학 실습 (Clinical Practice of Anatomy Pathology)

의사로서 갖추어야 병리학적 지식을 습득하고, 병리과에서 시행되고 있는 수술 검체와 생검 검체의 처리 및 진단 과정을 이해한다.
2-0-4

핵의학 실습(Clinical Practice of Nuclear Medicine)

핵의학에서 다루는 체내외 검사 및 치료에 관한 기본지식을 함양하고 실제 임상현장에서 시행되고 있는 검사와 치료 과정을 직접 견학함으로써 미래의 임상의사로서 핵의학 검사 및 치료를 임상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다.
2-0-4

외국의대선택실습 (Clinical Practice at Affiliation School)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과 MOU를 체결한 피츠버그 의과대학에 교환학생을 파견하여 병원 임상실습을 이수함으로써 국제적인 의학교육을 경험하여 글로벌 의료인재를 양성한다.
2-0-4
4-2

임상수기 종합평가(Assessment and Review of Clinical skills)

의사국가시험 실기시험 항목을 통하여 4학년 학생의 실제적인 임상 진료 능력을 교육하고 평가한다.
3-3-0

임상의학 종합평가 II (Assessment of Clinical Medicine II)

1-3 학년 과정에서 배웠던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과, 정신과, 예방의학과에 대한 내용을 요약 및 종합하여 학습함으로써 임상에서 응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지식을 터득하는데 목적을 둔다.
3-3-0

임상의학 종합평가 Ⅲ (Assessment of Clinical Medicine Ⅲ)

1-3 학년 과정에서 배웠던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과, 정신과, 예방의학과에 대한 내용을 요약 및 종합하여 학습함으로써 임상에서 응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지식을 터득하는데 목적을 둔다.
2-2-0

시기성과 종합평가 Ⅲ-2 (Assessment of Phase Outcome Ⅲ-2)

Phase III의 시기성과를 달성했는지 평가하는데 목표가 있다. 각 시기별 학습성과를 달성하여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여 학생들의 진급에 활용한다.
2-2-0

의료인문학 Ⅳ (Medical Humanities Ⅳ)

강원의전원의 인문학 강좌를 이해하고 리더십을 갖으며 의료 경영의 기본을 이해한다.
1-1-0